본문 바로가기

유네스코

한국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반응형


한국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유네스코(UNESCO)로 더 널리 알려져 있는 유엔기구에서 선정한 한국의 생물권보전지역(한국은 1950년 02월 11일에 가입)



 한국은 2018년 현재 6개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순번

 등재 명

 등재 년도

 1

 설악산

1982년 

 2

 제주도

2002년 

 3

 신안 다도해

2009년 

 4

 광릉숲

2010년 

 5

 고창

2013년 

 6

 순천

2018년 



1. 설악산(1982년 등재, 2016년 연장)

설악산1

 설악산 한반도 동쪽 해안에 위치한 태백산맥의 화강암과 기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위 언덕과 능선이 있다.  해발 1,708m의 주봉으로 국내에서는 세번째로 높은 산이다.



설악산2

생태학적 특성 이 공원에는 중온대 처녀림과 1,292종의 동식물들이 있따. 알파인 지역(1,300m 이상)에서는 바람, 온도, 습도와 같은 기후 요인이 낙엽과 상록수 잎이 혼합된 숲을 형성했다.

 하지만 순록은 공원의 일부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한국의 토끼, 사향 사슴, 수달등 44종의 포유동물, 109종의 조류, 10종의 양서류, 19종의 파충류, 43종의 어류, 곤충 1,683종이 있습니다.

 설악산을 대표하는 주요 종은 대청봉 주변에 자라는 한국의 꽃과 돌 소나무 입니다.

 특히 난쟁이 돌 소나무의 서식지는 엄격한 자연 보호 구역으로 보호됩니다. 

 설악산 국립공원은 매우 활기차고 다채로운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향, 아시아 흑곰, 날다람쥐, 서락동의 소나무 같은 몇몇 독특한 야생 생물들도 천연 기념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설악산3

사회 경제적 특성 약 13,000명의 주민들이 생물권 보호구역에 살고 있다. 일부 지역 주민들은 과수원, 논밭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그러나 주민 대부분은 숙박, 식당, 리조트 등 관광객을 위한 시설등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2. 제주도(2002년 등재)

제주도1

 제주도의 생물권 보호구역은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1,950m 높이의 방패 화산으로 용암 고원을 덮고 있다. 생물권 보호구역은 섬의 핵심 지역인 한라 국립공원과 두개의 하천, 세개의 섬에 위치해 있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종은 많다. 제주도의 주요 산업은 관광, 농업 그리고 목축업입니다.



제주도2

 생태학적 특성 제주는 약 200만년 전에 형성된 화산섬이다. 그것은 알파인 침엽수림, 온대낙엽 숲, 따뜻한 온대 기후의 숲, 그리고 온대풀등 4대 생태계를 포함하고 있다.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들이 많이 살고 있고 한국산 식물 134개가 분포되어 있다. 그중 90개는 제주 토종 식물이다. 특히 한라산 정상에는 토종식물 28개가 분포되어 있다. 이 종들은 지구온나화로 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총 103종이 제주도에 서식하며, 여기에는 표범 고양이, 자리돔, 제주도의 토종인 제주마 등이 포함된다. 녹색 바다 거북, 검은 얼굴 저어새, 바다표범과 같은 멸종 위가 종도 이섬에 나타납니다.

 제주도는 네곳의 국제 지정 지역이 모두 같은 위치에 있는 유일한 곳입니다.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세계 자연유산, 제주도 생물권 보전 지역, 제주도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 RAMSAR 습지 2곳



제주도3

 사회 경제적 특성 제주도의 주민들은 한국의 주요 국토의 인종적 배경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고립된 섬으로서의 지리적 특성은 고유의 독특한 방언, 문화, 관습을 발달시켰다. 약 20,000명의 주민들이 생물권 보호구역에 살고 있다. 제주도의 주요 산업으로는 관광, 농업, 어업이 있다.

 또한 제주도는 기원전 434년부터 해녀라고 불리는 다이빙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녀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기계장치 없이 바다에서 해산물을 잡는 전통 직업니다. 해녀의 생활주기는 15세부터 바다에서 자유롭게 움직일수 없을때까지 입니다. 일단 은퇴하면 그들은 해양 지식인들과 해양 자원을 보호하는 경비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0년 현재, 4,996명의 해녀가 제주도에 살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노화를 격고 있다. 다른 산업에서의 결제 발전에 따른 후계자들의 부족으로 해녀도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해녀 문화의 보존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신안 다도해(2009년 등재, 2016년 연장)

신안1

 신안 다도해는 대한민국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흑산도, 홍도, 비금도, 도초도, 증도를 포함한 1,000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리적 위치는 그 지역의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총 면적은 약 5백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선은 1,000km가 넘는다. 해양 생물과 희귀 철새들의 중요한 서식지인 거대한 갯벌은 전통 양식의 어업 및 소금 생산을 포함하여 지역 주민들을위한 일터 역할을 합니다.



신안2

 생태적 특성 온난한 상록수의 광대한 산림 지대 : 주종은 모밀잣밤나무, 은색 목련, 동백나무입니다. 자금우, 송악, 새리 나무, 엄나무등도 있습니다.

 사구 식물 : 갯쇠보리, 왕잔디, 순비기나무, 갯메꽃, 모래지치, 통보리사초, 갈대를 포함한 몇몇 특이한 종들이 사구 전체에 분포한다. 

 무인도서의 상록수 침엽수림지대 : 일본산 흑송나무 군락이 해안과 산허리를 지배하고 있다. 몇몇 무인도에서 온대 상록수, 침엽수와 일본의 검은 소나무가 있다.

 갯벌 : 습지에는 갈대와 노근이 많습니다. 연안 지역에는 염생 식물 군락과 같은 다양한 염 습지 식물이 생겨나고 있다. 많은 생물학적 생물체가 조간대에 있다. 갯벌의 표면은 생태 순화과 먹이 사슬의 복잡성으로 인해 규조류와 플랑크톤의 종요한 서식지이며, 많은 조개와 무척추 동물이 이곳에서 발견됩니다.

  

 

신안3

 사회 경제적 특성 산악 등반 및 레크레이션 분야를 개발하기 위해 모니터링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핵심 지역의 해상 지역은 생태 관장 및 크루즈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거주자를 위한 산책로는 생태계를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다도해 국립공원, 천일염이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생산됩니다. 또한 관광 투어 및 자전거 타기와 같은 생태 관광 프로그램은 여러면에서 유익 할 수 있으므로 고려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환경 친화적 어업 및 어류 번식이 수행됩니다. 그러나 해상 운동 시스템은 보다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하도록 재구성되어야 합니다. 생태 관광을 지역 공동체의 개척과 자연 현상을 반영하여 개발하는 것도 권장됩니다. 또한 지역의 자연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 제품의 전문화를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거 지역으로 개발될 가능서이 있습니다.




4. 광릉숲(2010년 등재)

광릉숲1

 광릉숲 중심부는 남쪽으로 흐르는 봉선사천(해발 100m)에 의해 동서로 나뉘어진 분지이다. 분지는 북쪽으로 열려 있고 다른 면들은 산봉우리와 능선에 둘러싸여 있다. 지리적 특성상 이 지역의 겨울철 기온은 지역보다 4도 정도 낮다.

 숲 동쪽에는 숲의 가장 높은 봉우리(600m)인 주엽산이 남쪽 끝에 위치한 운악산과 광릉의 능선을 따라 이어져 있다.



광릉숲2

 인간 활동 약 23만 명의 거주자가 거주하는 35개 마을이 제안된 생물권 보호구역의 전환지역 내에 있다. 주민들은 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소규모 집단은 농업에 종사하는 원래 주민들로 구성되며, 더 큰 집단은 다른 지역에서 이주하여 식당과 호텔 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특히 하이킹 코스나 산림 휴양지, 주말 농장과 같은 도시 주민들에게 자연 노출을 제공하는 새로운 직업들이 도입되었다.
핵심지역은 과학적 연구를 위한 보호림이고, 흰배 딱따구리 서식지 보호구역에 대한 감시와 자연 낙엽수의 보호지역이다. 완충지대는 임업 기술과 교육의 개발을 위한 실험적 숲이다. 대부분의 숲은 경작지이다. 전환지역은 사유림, 농경지, 주거지역으로 구성된다.


광릉숲3

 생태적 특성 서쪽은 숲의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소리봉산(537m)과 북쪽, 남쪽, 동쪽 3개 지류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동쪽의 능선은 봉선사천으로 흘러들어가는 온화한 기복을 이루고 있으며 광릉숲의 중심부인 동쪽 능선의 주변에는 비옥한 토양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이 지역의 기후가 절정인 나무 종으로 추정되는 낙엽수로 구성된 오래된 성장 숲으로 덮여 있습니다.



5. 고창(2013년 등재)

고창1

 고창 은 67,000헥타르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서부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숲, 해안, 민물 생태계로 이루어져 있다. 조력 비행장은 철새들, 특히 장어와 도랑의 주요 중간 지점이다.



고창2

 생태적 특성 고창생태권보호구역은 선운성공원의 산림생태계와 고창의 해안생태계와 부안달래목지, 동림저수지의 민물생태계이다.산악 습지

 고창과 부안갯벌은 철새들의 중간 지점으로서 특히 중요하다. 그 보호구역에 사는 새들 중에서, 몇몇 종들은 국가적으로 그리고 국제적으로 중요하다. 특히, 황새, 흑갈색 저어새, 저어새, 검은 백조, 흰 백조, 검은머리갈매기, 큰기러기, 참매 및 검은머리쿨떼새 같은 철새의 여러 종은 조류 서식지로서 지역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고창3

 사회 경제적 특성 고창은 14개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2011년 전체 인구는 61,407명으로 그 중 24,623명이 농가였다. 농사의 종류는 쌀, 야채와 야생 식용 식물, 과일과 가축을 포함한다. 생물권 보호구역에서 지배적인 다른 경제 활동들은 생태관광, 유기농 농업, 소금 생산이다.




6. 순천(2018년 등재)

순천1

 순천 한반도의 남쪽 끝에 위치한 생물권 보호구역은 순천시를 둘러싼 육상 생태계(모하산과 조계산)와 순천만 해안 해조 평지 생태계를 포함한다. 이 유적지의 풍부한 생물학적 자원에는 갑각류, 어패류, 그리고 약초, 갈대집단, 동 아시아 세프웨이드가 포함된다. 농촌, 어업, 산촌 마을 주민 등 주민들은 벼농사, 약초, 매실, 감 등 과일이 포함된 생태계를 경제 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순천2

 생태적 특성 한반도의 남쪽 끝에 위치한 순천 생물권 보호구역의 조수와 숲은 모두 생물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다. 멸종 위기에 처한 두루미는 물론, 검은 얼굴 저어새와 흰 꼬리 독수리의 서식처이기도 하다. 그것의 수생 생태계는 생물의 다양성에 있어서 부족하지 않으며 칠게와 같은 다양한 갑각류들을 특징으로 한다.

 그것의 생태축은 조계산 중심의 육상생태계와 순천만 해안의 갯벌습지 생태계로 나뉘어져 있다. 반면 하천 생태계(이사천강 해룡천강)는 육상·해안 생태계 간의 회랑 역할을 하며 생태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순천3

 사회 경제적 특성 순천시의 인구는 10만4507가구 28만1389명이다생물권 보전 지역의 완충 대 및 천이 지대에는 쌀, 약초, 특별한 제품 (자두 및 감 등)을 재배하고 임산물을 수집하여 농촌, 어촌 및 산악 마을 주민들이 살고 있습니다. 순천의 자연 경관은 때로는 축제, 사원, 요새 등 풍부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얽혀 있기 때문에 관광의 잠재력도 크다.




※ 사진출처 및 설명 출처 : 유네스코 https://en.unesco.org/   번역 : 구글 번역 및 네이버 파파고 번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