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네스코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반응형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유네스코(UNESCO)로 더 널리 알려져 있는 유엔기구에서 선정한 한국의 세계 문화 유산(한국은 1950년 02월 11일에 가입)

 

 

 세계 문화유산 등재 기준으로는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

2. 오랜 세월에 걸처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3.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

4.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

5.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

6.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화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등 복작합 등재 기준이 있는데 한국은 2021년 현재 15개 세계유산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2021년 현재 13개의 문화유산, 2개의 자연유산[제주도, 갯벌] 총 15건 등재.)  

 

 순번  등재 명  등재 년도
1  종묘 1995년
2  해인사 장경판전 1995년
3  석굴암 및 불국사 1995년
4  화성 1997년
5  창덕궁 1997년
6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2000년
7  경주 역사지구 2000년
8  제주도(자연유산) 2007년
9  조선 왕릉 2007년
10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2010년
11  남한산성 2014년
12  백제역사유적지구 2015년
13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년
14  서원 - 한국 유교 학교 2019년
15  갯벌 - 한국의 갯벌(자연유산)
 * 서천갯벌(충남 서천)
 * 고창갯벌(전북 고창)
 * 신안갯벌(전남 신안)
 * 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2021년



1. 종묘(1995년 등재)

종묘1

 종묘는 조선 왕조의 역대 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유교 사당 입니다. 태조 이성계가 1394년 수도를 한양으로 옮기고 착공하기 시작하여 10개월 만에 완공하였고 임진왜란때 파괴되었다가 광해군때 복구를 하여 지금 까지고 비교적 온전하게 유지되어 왔으며 정기적으로 제례가 행해지고 있습니다.

 

종묘2

 

[유네스코 설명]유교가 보존된 가장 오래된 전통. 조선왕조(1392~1910)의 조상들에게 헌정된 건물은 16세기 이래로 현재의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전 왕실 가족 구성원들의 가르침을 담고있는 신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악, 노래 및 춤을 연결하는 의식은 여전히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을 영속시키고 있습니다.

 

 

 

 

 

 

2. 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등재)

해인사1

 

해인사2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산에 위치한 해인사는 13세기 제작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15세기경 지어진 건축물로 지금까지도 그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며, 목판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자연통풍과 온도, 습도의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어진 건물 입니다.

해인사3

[유네스코 설명]가야산에 있는 해인사는 1237년부터 1248년 사이에 8만장의 목판이 새겨져있는 가장 오래된 불교 문헌 모음인 고려 대장경이 들어서 있다. 15세기부터 시작된 장경 판전 건물은 탁월한 예술 작품으로 존경받는 목판화. Tripitaka(1세기에 수집외어 설교, 수도원 법 및 형이상학의 세 부문으로 편성된 부처의 담론)의 가장 오래된 보관소로서, 그들은 이 목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 보존 기술의 발명과 구현에 대한 놀라운 숙달을 보여줍니다.

 

 

 

 

 

 

3. 석굴암 및 불국사(1995년 등재)

석굴암
불국사

경상북도 경주에 위치한 불국사는 8세기 후반경 완공된 불교 유적이고,  석굴암은 부처가 깨달음을 얻는 순간을 묘사한 조각상 입니다.

 

불국사2

 

[유네스코 설명]토함산 비탈에 8세기에 세워진 석굴암은 부처가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기념비적인 불상을 포함하고 있다. 신, 보살, 제자들에 대한 주변의 묘사들로, 현실적이고 섬세하게 조각하여 극동에있는 불교 예술의 걸작이라고 여겨진다. 불국사(774년에 건축)와 석굴암은 종교적 건축 단지를 형성합니다.

 

 

 

 

 

 

 

4. 화성(1997년 등재)

화성1
화성2

 경기도 수원에 있는 5.4km의 조선시대의 성곽.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 세자의 묘를 옮기면서 신도시 건설을 위해 방어 목적으로 정양용이 설계하여 건설. 6.25대 파손되었으나 [화성 성역 의궤]를 바탕으로 복원 하였습니다.

 

화성3

 

[유네스코 설명]정조 조선이 18세기 말에 수원으로 무덤을 옮겼을 때 영향력있는 군대 건축가의 교훈에 따라 강력한 수비 작업으로 둘러쌌다. 동쪽과 서쪽 거의 6km에 이르는 방대한 벽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4개의 문으로 관통되고 요새, 포병 탑 및 다른 특징을 갖추고 있다.

 

 

 

 

 

 

 

 

5. 창덕궁(1997년 등재)

창덕궁1
창덕궁2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시대 궁궐. 두차례 왕자의 난으로 경복궁의 지위가 흔들린 뒤 태종에 의해 15세기초에 정궁인 경복궁 동쪽에 지어임. 임진왜란때 소실되었으나 재건축되어 경복궁을 대신해 250여년간 정궁 역할을 했습니다. 

 

창덕궁3

 

[유네스코 설명]15세기 초 태종은 길조가있는 곳에서 새로운 궁궐 건축을 명령했다. 궁전 건축 국은 58ha의 고르지 않은 지형에 영리하게 적응된 정원에 정비된 다수의 공식 건물과 주거용 건물로 구성된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그 결과 극동 궁전 건축과 디자인의 예외적인 예이며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6.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2000년 등재)

고인돌1

기원전 100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바위를 이용해 만든 거석 기념물. 한 지역에 수백기 이상의 고인돌이 집중 분포하여 청동기 시대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 입니다.

 

고인돌2

 

[유네스코 설명]고창, 화순, 강화의 선사시대 공동 묘지에는 거대한 돌판으로 지어진 천년 무덤에는 수백가지의 고인돌이 있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거대문화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그런 집중된 형태는 아닙니다.

 

 

 

 

7. 경주 역사지구(2000년 등재)

첨성대
경주1

 왕릉, 산성, 궁궐지, 조각, 탑등 신라시대의 여러 불교유적과 생활유적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습니다.

 

경주2

 

[유네스코 설명]경주 역사 지구는 조각, 안도, 탑 등의 형태로 한국 불교 예술의 뛰어난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의 개화시기부터 사원과 궁궐의 유적이 독특한 예술적 표현.

 

 

 

 

8. 조선 왕릉(2009년)

왕릉1
왕릉2

 왕릉은 왕족들의 무덤이기에 예법에 맞춰 세심하게 건축되었습니다. 18개 지역에 흩어져 있고 총 40기에 달합니다.

 

왕릉3

 

[유네스코 설명]조선 왕릉은 18개 장소에 40개의 무덤이 모여 있습니다. 무덤은 1408년 부터 1966년 까지 5세기에 걸쳐 세워졌으며 조상의 기억을 존중하고 성취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며 왕권을 주장했으며, 선조들의 정신을 악으로 부터 보호하고 기물 파괴로부터 보호했습니다. 탁월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무덤은 전형적으로 언덕으로 보호되는 무덤으로 물을 향해 남쪽으로, 이상적으로는 멀리있는 산 능선의 층을 마주보고 있습니다. 매장 지역과 함께 왕립 무덤에는 의식 장소와 입구가 있습니다. 매장 고분 이외에 무덤의 필수적인 부분인 관련 건물에는 T자형의 목조 신사, 비석을 위한 창고, 왕실의 주방과 경비원의 집, 빨갛게 물들인 문 및 무덤 지킴이 집이 있습니다. 경내는 사람과 동물의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돌 개체로 외부 장식되어 있습니다. 조선 무덤은 한반도의 왕릉 건축 역사 5,000년을 완성합니다.

 

 

 

 

9.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2010년)

하회1
양동1

경상북도 안동에있는 하회마을과 경주에있는 양동마을, 조선시대 촌락의 특징을 잘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씨족 마을 입니다.

하회2
양동2

[유네스코 설명]14-15세기에 설립된 하회와 양동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역사마을로 여겨지고 있다. 그들의 배치와 위치는 숲이 우거진 산들로 보호되고 강과 개방된 농경지로 향하며 조선 초기(1392-1910)의 독특한 귀족 유교 문화를 반영한다. 이 마을들은 주변의 풍경으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양분을 제공하기 위해 위치해 있었다. 그 중에는 종가들의 주거지와 함께 종묘, 서재학당, 유교학원, 진흙담화, 초가집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마을 주변의 산과 나무, 그리고 물의 풍경은, 전시관과 휴양지로 이루어진 전망으로, 17세기와 18세기 시인들의 아름다움으로 기념되었습니다.

 

 

 

 

 

 

 

10. 남한산성(2014년 등재)

남한산성1
남한산성2

경기도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으로 삼국시대에 쌓은 성을 조선시대 인조와 숙종때 각종 시설물을 세우고 증축하여 오늘날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남한산성3

 

[유네스코 설명]남한산성은 서울에서 남동쪽으로 25킬로미터 떨어진 산악지대에 조선 왕조의 비상 수도로 설계되었다. 불교 승려들이 지었고 방어하는 이 건물은 4,000명의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었고 중요한 행정 및 군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것의 가장 오래된 유적은 7세기 이후이지만, 특히 청나라의 공격을 예상하고 17세기 초에 여러 번 재건되었다. 이 도시는 중국과 일본의 영향을 바탕으로 한 당대의 방어군 기술 개념과 화약을 사용한 무기의 서구에서 소개된 후 요새화 기술 변화를 구체화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도의 수도였던 사람들이 살고 있는 이 도시는 다양한 군, 시민, 종교 건물들의 증거를 담고 있으며 한국 주권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11. 백제역사유적지구(2015년 등재)

백제1
백제2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있는 백제 관련 유적지입니다.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삼국 고대 왕국들 사이의 상호 교류 역사를 잘 보여준다는 점, 백제의 내세관·종교·건축기술·예술미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백제 역사와 문화의 특출한 증거라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하여 등재 되었습니다.

 

백제3
백제4

 

[유네스코 설명]대한민국 중서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이 성곽은 공산성곽과 목성등 총 475~660년에 이르는 8개의 고고학적 유적지와 함께 수도인 웅산리 일대에 조성되어 있다 수도 사비(현 부여), 왕궁리 왕궁리 왕궁, 신국사 등 신산리 왕릉과 나성 성곽의 왕릉은 익산 2차 신전과 관련이 있다. 이 유적들은 한반도에서 가장 초기 세 개의 왕국 중 하나인 백제 왕국의 후기 시대를 상징하며, 당시 그들은 상당한 기술, 종교, 그리고 일본과의 교류가 있었던 시기였습니다.

 

 

 

12.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2018년 등재)

산사1
산사2
산사3

[유네스코 설명]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은 한반도의 남부 지방에 위치한 불교 수도원입니다. 7세기부터 9세기에 걸쳐 성립된 7개의 사찰 배치, 한국 특유의 공통적 특징인 '마당', 4개의 건물(법당, 정자, 강당, 기숙사)이 측면에 있습니다. 그것들은 개별적으로 주목할 만한 구조물, 물체, 문서 및 사당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이 산의 수도원은 신성한 장소로, 오늘날까지 신앙과 매일 종교적 관행의 살아있는 중심지로 남아있습니다.

 

 

12. 서원, 한국 유교 학교(2019년 등재)

 

 

 

[유네스코 설명]대한민국의 중부와 남부에 위치한 이 유적지는 조선왕조의 유교사원을 대표하는 9개의 서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자들의 배움과 존경, 그리고 환경과의 상호 작용은 서원의 설계에 표현된 필수적인 기능이었다. 산과 물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자연에 대한 감상이나 심신의 육성을 선호했다. 누각형 건물은 경치와 쉽게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 서원은 중국으로 부터의 유교가 한국의 환경에 적응한 역사적 과정을 보여준다.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도남서원 등 9개의 서원 등록)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도남서원

 

 

 

 

※ 사진출처 및 설명 출처 : 유네스코 https://en.unesco.org/   번역 : 구글 번역 및 네이버 파파고 번역

 

 

반응형